충남도, 석면피해자 27회째 힐링캠프 운영. 사진/충남도 제
충남도는 석면피해자와 가족 대상 '석면피해자 힐링캠프'를 마쳤다고 5일 밝혔다. 10월 23일부터 31일까지 태안 천리포수목원에서 2회 실시했다.
◆2015년부터 27회 1100명 참여
충남도는 2015년부터 석면피해자 정서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힐링캠프를 운영했다. 현재까지 27회 1100여 명이 참여했다. 올해 캠프는 장기간 신체적·정신적 피로가 누적된 피해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생태체험·웃음치료 등 치유프로그램
주요 프로그램은 수목원 생태체험, 반려식물 가꾸기, 웃음치료 등 치유프로그램이다. 석면피해 구제제도 안내와 피해자 간 소통 시간도 마련했다.
도중원 충남도 대기환경과장은 "석면피해는 완치가 어려운 질병이지만 정서적 치유프로그램이 피해자와 가족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며 "앞으로도 피해자들이 일상에서 안정과 희망을 되찾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서지원 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보경 기자
English Article
아래는 위 기사를'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전문]입니다.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Chungnam Province Operates 27th Healing Camp for Asbestos Victims...Supports Psychological Recovery for 1,100 People
Ecological experience and laughter therapy conducted at Cheollipo Arboretum in Taean
Chungnam Province announced on the 5th that it completed the 'Asbestos Victim Healing Camp' for asbestos victims and their families. The province conducted the camp twice from October 23 to 31 at Cheollipo Arboretum in Taean.
◆1,100 participants in 27 sessions since 2015
Chungnam Province has operated healing camps since 2015 to support emotional recovery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asbestos victims. A total of 1,100 people have participated in 27 sessions to date. This year's camp targeted victims and families with accumulated long-term physical and mental fatigue.
◆Healing programs including ecological experiences and laughter therapy
Main programs include healing programs such as arboretum ecological experiences, companion plant gardening, and laughter therapy. The province also provided information on asbestos damage relief systems and time for communication among victims.
Do Jung-won, director of Chungnam Province's Air Environment Division, said, "Although asbestos damage is a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cure completely, emotional healing programs provide great strength to victims and their families."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promote various emotional support projects so that victims can regain stability and hope in their daily lives."
Reporter Choi Bo-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