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기사
◆ 10월 민간분양 1만7499가구 공급
리얼하우스가 2024년 11월 5일 청약홈 자료를 집계한 결과, 2024년 10월 전국 민간분양 공급은 1만7499가구로 나타났다. 공급은 전월 대비 5677가구(48%) 증가했다. 공급은 전년 동월 1만4516가구 대비 20.5% 늘었고, 2024년 4월 1만8408가구 이후 18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 경기 지역 9436가구 공급
경기도는 10월에 9436가구를 공급했다. 공급은 수도권 전체의 약 85%, 전국 전체의 53.9%를 차지했다. 주요 단지는 파주 ‘운정 아이파크 시티’ 3250가구, 김포 ‘풍무역 푸르지오 더 마크’ 1524가구, 평택 ‘브레인시티 비스타동원’ 1600가구 등이다.
◆ 분양가 변동…충청권 하락
10월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전용면적 ㎡당 798만원으로 전월 778만원 대비 2.6% 상승했다. 서초구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당 3462만원을 기록해 ‘포제스 한강’(5374만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분양가를 보였다. 성남 분당구 ‘더샵 분당티에르원’은 ㎡당 3035만원, 동작구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은 ㎡당 2549만원을 기록했다.
전용 59㎡ 전국 평균 분양가는 4억9831만원으로 전월 대비 0.36% 하락했다. 서울은 12억6326만원(4.24%), 수도권은 8억0628만원(3.75%)으로 상승했다. 반면 충청권은 하락했다. 대전은 4억0290만원으로 2.06% 떨어졌고, 충북은 3억7036만원으로 0.75% 감소했다.
전용 84㎡는 전국 평균 6억7281만원으로 전월 대비 2.01% 올랐다. 수도권은 10억7863만원, 서울은 16억6502만원, 경기는 9억2067만원(10.74%)으로 증가했다.
김선아 리얼하우스 분양분석팀장은 “6월 정권 교체 이후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8월부터 수도권 공급이 확대되고 있다”며 “10월부터 규제가 강화되면서 향후 공급은 수도권 비규제지역 중심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우현 기자
English Article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 Chungcheong Region Prices Decline as October Pre-sale Supply Reaches 17,499 Units
RealHouse aggregated data from Cheongyak Home on November 5, 2024. Private pre-sale supply across South Korea reached 17,499 units in October. The supply increased by 5,677 units (48%) from the previous month. The figure rose 20.5% from 14,516 units a year earlier and marked the highest level in 18 months since 18,408 units in April 2024.
◆ Gyeonggi Province Supplies 9,436 Units
Gyeonggi Province supplied 9,436 units in October. The volume accounted for about 85%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53.9% of the national total. Major complexes included Unjeong IPARK City in Paju with 3,250 units, Pungmu Station Prugio The Mark in Gimpo with 1,524 units, and Brain City Vista Dongwon in Pyeongtaek with 1,600 units.
◆ Selling Price Changes…Chungcheong Region Declines
Average private apartment selling prices reached 7.98 million KRW per m² in October, up 2.6% from 7.78 million KRW in September. Banpo Raemian TriniOne in Seocho District recorded 34.62 million KRW per m², the second-highest level after Fozes Hangang at 53.74 million KRW. The Sharp Bundang Tier One recorded 30.35 million KRW per m², and Hillstate Isu Station Central recorded 25.49 million KRW per m².
The national average selling price for 59 m² units reached 498.31 million KRW, down 0.36% from the previous month. Seoul rose to 1.26326 billion KRW (4.24%) and the metropolitan area to 806.28 million KRW (3.75%). In contrast, the Chungcheong region declined. Daejeon fell to 402.9 million KRW (-2.06%), and North Chungcheong Province fell to 370.36 million KRW (-0.75%).
The national average for 84 m² units rose to 672.81 million KRW, up 2.01% month-on-month. The metropolitan area reached 1.07863 billion KRW, Seoul 1.66502 billion KRW, and Gyeonggi Province rose 10.74% to 920.67 million KRW.
Kim Sun-ah, Head of Pre-sale Analysis at RealHouse, stated that supply has expanded in the metropolitan area since August as uncertainty eased following the June change in administration. She added that strengthened regulations from October would likely increase supply in non-regulated areas within the metropolitan region.
Journalist: Lee W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