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회, ‘세종시 친 보행자 환경조성을 위한 대중교통 개선 연구모임’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사진/세종시의회 제공

세종특별자치시의회가 BRT 정류장 보행환경 실태를 분석하고 시민 체감형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개최

세종시의회(의장 임채성)는 5일 의회 청사 의정실에서 '세종시 친 보행자 환경조성을 위한 대중교통 개선 연구모임' 제6차 간담회를 열었다. 연구모임(대표의원 최원석)은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끝으로 활동을 마무리했다.

간담회에는 최원석 대표의원과 김영현, 김현미 의원을 비롯한 연구모임 회원들이 참석했다. 세종시청 대중교통과, 도로과 관계 공무원도 함께했다. 참석자들은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책임연구자 오시몬 교수)으로부터 '세종시 정류장 보행환경 개선방안 수립 연구용역' 최종 결과를 청취했다.

◆구체적 시설개선 방안 논의

연구에서는 정류장 구조로 인한 보행자 사고 위험을 분석했다. ▲정류장과 횡단보도 간 안전거리 확보 ▲정지선 이중 표시 도입 ▲보행로·차도·PM 구역 색상 포장 구분 ▲BRT 접근 감응형 신호체계 구축 등 개선방안이 제시됐다.

최원석 대표의원

최원석 대표의원은 "세종시 BRT는 정시성과 효율성 면에서 전국적 모범사례로 평가받는다"며 "이용량 증가에 따라 보행자 사고도 늘고 있어 안전 확보를 위한 인프라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연구에서 제시된 패턴분석 결과와 개선방안이 향후 세종시 정책 수립과 예산 확보 과정에서 활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 마련 필요

김영현 의원은 "보행자 무단횡단 방지와 신호 인지도 제고를 위해 적색잔여시간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며 "보행자와 차량 모두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현미 의원은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이 현장에서 실질적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세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며 "정류장 접근로와 횡단보도 등 시민이 직접 체감하는 구간부터 개선이 추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연구모임의 연구 성과는 향후 세종시 보행안전정책 및 관련 제도개선에 활용될 전망이다.

최보경 기자

ENGLISH VERSION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Sejong City Council Prepares BRT Stop Pedestrian Safety Improvement Plan

Proposes Secure Safety Distance Between Stops and Crosswalks, Responsive Signal Systems

The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Council analyzed the BRT stop pedestrian environment and presented citizen-oriented improvement plans.

◆Final Research Service Report Held

The Sejong City Council (Chairman Lim Chae-seong) held the 6th meeting of the "Research Group for Public Transportation Improvement to Create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in Sejong City" at the council building's legislative office on the 5th. The research group (Representative Member Choi Won-seok) completed its activities with the final research service report.

The meeting was attended by Representative Member Choi Won-seok, Members Kim Young-hyun and Kim Hyun-mi, research group members, and officials from Sejong City Hall's Public Transportation Division and Road Division. Participants received the final results of the "Research Service for Establishing Sejong City Stop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from Korea University Sejong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Principal Researcher Professor Oh Simon).

◆Specific Facility Improvement Plans Discussed

The research analyzed pedestrian accident risks caused by stop structures.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including ▲securing safety distance between stops and crosswalks ▲introducing double stop line markings ▲distinguishing color pavement for walkways, roads, and PM zones ▲establishing BRT approach-responsive signal systems.

Representative Member Choi Won-seok stated, "Sejong City BRT is evaluated as a nationwide model case in terms of punctuality and efficiency," adding "As usage increases, pedestrian accidents are also rising, requiring infrastructure improvements to ensure safety." Choi added, "I hope the pattern analysis results and improvement plans presented in this research will be actively utilized in Sejong City's policy establishment and budget securing process."

◆Need for Effective Improvement Plans

Member Kim Young-hyun sai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red remaining time to prevent pedestrian jaywalking and improve signal awareness," adding "We must prepare effective improvement plans so that both pedestrians and vehicles can use roads safely."

Member Kim Hyun-mi stated, "Detailed review is needed so that various improvement plans to secure pedestrian safety can have practical effects in the field," adding "I hope improvements are promoted first in sections directly experienced by citizens, such as stop access roads and crosswalk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research group will be utilized for Sejong City's pedestrian safety policies and related system improvements.

Reporter Choi Bo-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