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 기사(규정 준수본)
◆사기 수법 및 피해 우려
예산군은 최근 군 공무원을 사칭해 지역 내 자영업자와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계약 대금이나 물품 대금을 요구하는 사기 시도가 발생함에 따라 주의를 당부했다. 사기범들은 공문서 양식과 공무원증, 명함을 정교하게 위조하고, 군청 슬로건이 인쇄된 위조 명함과 공문을 전달해 신뢰를 유도한 뒤 자재 대금 대납이나 선결제를 요구하고 있다.
◆수법의 교묘화
사기범들은 나라장터 입찰 개찰 결과 공개 후 낙찰 업체에 연락해 계약 진행을 위해 계약보증금 현금 납부를 요구하거나, 계약서 초안을 이메일로 발송하는 등 수법을 점점 교묘하게 변형하고 있다. 예산군은 이러한 사례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을 경고했다.
◆예방 조치 및 신고 안내
군 관계자는 공문서, 명함, 공무원증을 제시받더라도 무조건 신뢰하지 말고, 군청 홈페이지에 게재된 해당 부서 공식 연락처를 통해 사실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확인 없이 송금하거나 물품을 발송할 경우 회복이 어려운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의심스러운 연락이나 피해 사례를 접하면 즉시 112에 신고해야 한다.
김한규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Fraud Methods and Risk
Yesan County has urged caution as recent fraud attempts targeted local small business owners and suppliers by impersonating county officials and demanding payment for contracts or goods. Fraudsters produce forged official documents, employee IDs, and business cards, including fake cards and documents printed with the county slogan, to gain trust and request advance payments or cover material costs.
◆Increasing Sophistication of Methods
Fraudsters contact winning bidders after public disclosure of the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KONEPS) results, demanding cash deposits for contract execution or sending contract drafts by email. The county warned that such methods are becoming increasingly sophisticated and may result in significant damage if not properly verified.
◆Prevention Measures and Reporting
County officials emphasized that recipients should not automatically trust documents, business cards, or IDs and must verify authenticity through official contacts listed on the county website. Sending money or goods without verification may lead to irrecoverable losses. Residents encountering suspicious contacts or fraud cases should report immediately to 112.
Reporter Kim Han-k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