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의 탄소회중립특위가 선진지 견학을 실시했다. 사진/아산시의회 제공

아산시의회 탄소중립을 위한 특별위원회(위원장 김미영)는 22일 서산시와 당진시 일원에서 선진지 견학을 실시했다.

위원회는 서산시 대호호 동서발전 수상태양광 발전소, 당진시 초락도리 GS솔라팜 발전단지, 영인면 수상태양광 발전 예정지를 방문했다. 위원들은 수상태양광 발전의 기술적 안정성과 생태환경 영향을 확인하고 주민참여형 에너지 사업 운영 사례를 들었다.

김미영 위원장은 "서산시는 대호호 수상태양광 사업 추진 과정에서 주민과 747회 사전 협의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아산시는 주민 설명회를 한 차례도 개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한국농어촌공사가 아산시와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추진한 점은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대호호 수상태양광은 국내 최대 규모로 2017년 공모 후 7년이 지난 2024년에 준공됐다"며 "아산호 수상태양광 사업 추진 시에도 지자체와 주민 간의 충분한 협의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보령시 사례처럼 집적화 단지 방식은 일반 공모 방식보다 사업 추진이 신속하고 주민 의견 반영이 용이하다"며 "아산시도 주민 참여 중심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현장에서 수상태양광 부표 위를 철새들이 휴식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생태적 공존이 가능함을 확인했다"며 "철새도래지 문제도 해결 가능한 사안임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은 "GS솔라팜의 발전단지 규모가 상당하지만 GS칼텍스가 사용하는 전력의 5분의 1 수준만 공급하고 있다"며 "아산시도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한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집적화 단지 조성을 통해 아산시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아산 관내 기업에 공급하는 지산지소(地產地消)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지역이 소비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탄소중립 도시로 나아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특위는 이번 견학을 계기로 주민 참여형 집적화 단지 조성 및 탄소중립 실천 사업 추진을 결의했다. 위원회는 관련 제도 마련과 정책 지원을 이어갈 방침이다.

최종룡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Asan City Council Carbon Neutrality Special Committee Tours Seosan and Dangjin Floating Solar Power Facilities

Chairperson Kim Mi-young: "Must Pursue Resident-Participatory Renewable Energy Projects"

The Asan City Council Special Committee for Carbon Neutrality (Chairperson Kim Mi-young) conducted a field tour in Seosan City and Dangjin City on the 22nd.

The committee visited the Seosan Daeho Lake East-West Power Floating Solar Power Plant, Dangjin Chorakdori GS Solar Farm Complex, and the planned Yeongin-myeon floating solar power site. Committee members confirmed the technical stability of floating solar power and its environmental impact, and heard about resident-participatory energy project operation cases.

Chairperson Kim Mi-young pointed out, "Seosan City formed a consensus through 747 prior consultations with residents during the Daeho Lake floating solar power project, but Asan City has not held a single resident briefing session."

Chairperson Kim emphasized,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s unilateral promotion of the project without sufficient consultation with Asan City must be improved."

Chairperson Kim stated, "Daeho Lake floating solar power is the largest in Korea, completed in 2024, seven years after the 2017 public offering," adding, "Sufficient consult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must precede the Asan Lake floating solar power project."

Chairperson Kim said, "Like the Boryeong City case, the integrated complex method is faster in project promotion and easier to reflect residents' opinions than general public offering methods," adding, "Asan City should also promote renewable energy projects centered on resident participation."

Chairperson Kim added, "We confirmed on site that migratory birds use the floating solar buoys as resting spaces, confirming ecological coexistence is possible," and "We directly confirmed that migratory bird habitat issues are also solvable."

Chairperson Kim pointed out, "Considering that GS Solar Farm's power generation complex only supplies one-fifth of the electricity used by GS Caltex despite its considerable scale, Asan City also urgently needs to respond to renewable energy transition."

Chairperson Kim emphasized, "We must establish a 'local production for local consumption' system that supplies renewable energy produced in Asan City to companies within Asan," adding, "We can move toward a true carbon-neutral city by creating a virtuous cycle where locally produced electricity is consumed locally."

Following this tour, the Carbon Neutrality Special Committee resolved to promote resident-participatory integrated complex construction and carbon neutrality practice projects. The committee plans to continue preparing related systems and policy support.

아산시의 탄소회중립특위가 선진지 견학을 실시했다. 사진/아산시의회 제공

Reporter Choi Jong-ry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