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시 흥덕구 대농지구 공한지

충북 청주시가 복대동 대농지구 복합개발에 뛰어들 민간사업자의 모집 기간을 늘린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에서 사업참가의향서를 낸 업체들이 컨소시엄을 꾸릴 시간을 더 부여하기 위한 조치다.

4일 시에 따르면 청주시 복대동 대농2·3지구 상업8블록 일원의 복대동 복합개발 민관협력사업에 대한 민간사업자 지정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제출일이 오는 6일에서 다음 달 31일로 변경됐다.

이번 공모에 사업참가의향서를 낸 업체는 3월6일까지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참가확약서를 제출해야 한다. 사업참가의향서를 제출한 업체는 17곳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7월 이뤄진 1차 공모에서는 43개 업체가 사업참가의향서를 냈으나 컨소시엄 구성에는 모두 실패했다.

시는 같은 해 12월 대표사의 신용평가등급과 대표건설사의 시공능력평가순위 등 자격요건을 완화해 재공모에 나선 상태다.

민간의 사업성 제고를 위해 공공시설 기부채납 면적에 대한 정량평가를 삭제하고, 최소 연면적 2만2000㎡에 대한 정성평가로 전환했다.

5년간 기부채납 공공시설 의무 운영은 특화운영계획 자유 제안으로 바꾸고, 컨소시엄 최소 구성 업체를 5개사에서 6개사로 늘렸다.

시는 4월 중 선정평가위원회를 열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1차 공모 때 사업참가의향서를 제출한 업체 상당수가 재차 사업참가의향서를 냈다"며 "사업계획서 제출기한이 너무 짧다는 의견에 따라 컨소시엄 구성 기간을 포함한 공모 일정을 늘렸다"고 말했다.

이어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시장 악화, 공사비 인상 등 부동산 경기 침체 현상이 지속돼 실제 컨소시엄이 구성될 지는 미지수"라며 "최적의 민간사업자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흥덕구 복대동 일원에 1만7087㎡ 규모의 대농2·3지구는 2006년 이 일대를 도시개발한 신영에서 기부채납된 뒤 생활체육 야구장을 거쳐 공공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시는 민간 컨소시엄과 프로젝트 금융투자회사(PFV)를 꾸려 공공시설과 사업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익시설을 건립할 계획이다. 시의 출자비율은 20%다.

시는 그동안 초등학교 신설, 공연장 건립 등을 추진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최종룡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