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에도 순이익 개선 제한적…중소기업 환 헤지 관리 필수

최근 원·달러 환율이 한때 1천430원을 돌파하며 고환율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충북 지역 수출기업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1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3천610.60)보다 29.61포인트(0.82%) 내린 3천580.99에 마감했다.

통상 원화 약세는 수출기업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원자재 수입 비중이 높은 충북 산업 구조 특성상 순이익 개선 효과는 제한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5개월여 만에 최고치…"미중 무역전쟁 우려"

13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0원 오른 1천430.0원으로 출발해서 곧바로 1천434.0원까지 올랐다.

이날 고점은 지난 5월 2일(1천440.0원) 이후 5개월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환율 상승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이 계속되고 한미 관세협상도 결론이 나지 않은 가운데 미중 무역전쟁 우려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원자재 의존도 높아 원가 부담 가중

한국은행 충북본부와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충북의 수출은 반도체, 전자부품, 화학소재, 정밀기기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반도체를 비롯한 일부 품목은 달러 강세로 수출 단가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다.

하지만 제조 공정상 해외 부품과 장비 의존도가 커 환율 상승이 원가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환 헤지(위험회피) 수단이 제한적이어서 환율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환율 리스크 관리가 경쟁력"

지역 산업계 관계자들은 "고환율이 단기적으로는 수출 호재처럼 보이지만 장기화될 경우 원부자재 가격 상승과 글로벌 수요 둔화가 겹쳐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며 "수출단가 인상 여력이 크지 않은 중소기업일수록 환율 리스크 관리가 필수"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충북 지역 기업들이 선물환과 옵션 등 다양한 환 헤지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중간재 국산화율을 높여 원가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또한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 전략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된다.

지역 한 경제 단체 관계자는 "환율은 단기적으로 기업 실적을 끌어올리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지금과 같은 불안정한 글로벌 환경에서는 리스크 관리가 곧 경쟁력"이라며 "충북 지역은 반도체 등 주력 품목 강점을 살리면서도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확보할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외환당국 구두개입 나서

고환율이 이어지자 외환당국이 구두개입에 나섰다.

기획재정부·한국은행은 "외환당국은 최근 대내외 요인으로 원화 변동성이 확대되는 과정에서 시장의 쏠림 가능성 등에 경계감을 가지고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구두개입은 보유한 달러를 사고파는 실개입(직접개입)과 달리, 시장에 개입하겠다는 메시지를 통해 환율 급등락을 줄이는 정책수단이다.

허재원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Won-dollar exchange rate breaks through 1,430 won… Chungbuk export companies worry about "raw material cost burden"

Limited net profit improvement despite high exchange rate… Essential currency hedging managemen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 the won-dollar exchange rate recently broke through 1,430 won and the high exchange rate trend continues, the management uncertainty of export companies in the Chungbuk region is growing.

Usually, a weak won acts a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export companies, but analysts say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net profit is limi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ngbuk industrial structure where the proportion of raw material imports is high.

Highest in about 5 months… "Concerns over US-China trade war"

On the 13th, in the Seoul foreign exchange market, the won exchange rate against the dollar started at 1,430.0 won, up 9.0 won from the previous trading day, and immediately rose to 1,434.0 won.

The high point that day is the highest level in about 5 months since May 2 (1,440.0 won).

The exchange rate increase is analyzed to be due to the growing concerns over the US-China trade war as the US federal government 'shutdown' continues and the Korea-US tariff negotiations have not reached a conclusion.

High raw material dependence increases cost burden

According to data from the Bank of Korea Chungbuk Headquarters and the Korea Customs Service, Chungbuk's exports are centered on semiconductors, electronic parts, chemical materials, and precision equipment.

Some items, including semiconductors, may become more price competitive in exports due to the strengthening dollar.

However, due to the high dependence on overseas parts and equipm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exchange rate increase will lead to cost burden.

In particular, it is pointed out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ay be directly affected by exchange rate fluctuations because their currency hedging (risk avoidance) means are limited.

"Exchange rate risk management is competitiveness"

Local industry officials said, "A high exchange rate may seem like a positive factor for exports in the short term, but if it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 burden may increase as raw material prices rise and global demand slows down," and "Exchange rate risk management is essential, especiall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at do not have much room to raise export unit prices."

Experts advise that companies in the Chungbuk region should actively utilize various currency hedging strategies such as forward exchange contracts and options and improve their cost structure by increasing the localization rate of intermediate goods.

In addition, opinions are also presented tha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export markets and switch to a strategy centered on high value-added products.

An official from a local economic organization said, "Exchange rates can have the effect of boosting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current unstable global environment, risk management is competitiveness," and "The Chungbuk region needs a strategic response to secure a stable profit structure while taking advantage of its strengths in major items such as semiconductors."

Foreign exchange authorities initiate verbal intervention

As the high exchange rate continues, foreign exchange authorities have initiated verbal intervention.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and the Bank of Korea stated, "Foreign exchange authorities are closely monitoring with a sense of cau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market bias as won volatility expands due to recent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Verbal intervention is a policy tool that reduces sudden exchange rate fluctuations through messages that the market will intervene, unlike actual intervention (direct intervention) that involves buying and selling dollars held.

Reporter Heo Jae-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