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 사진/공동 취재단
이재명 대통령은 17일 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시작으로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튀르키예를 순방한 7박10일간의 중동·아프리카 일정을 마치고 26일 귀국한다.
UAE에서는 방산 공동개발, AI·우주·바이오 분야에서 7건의 MOU를 체결하고 50조원 이상 수주 기대감을 높였다. 이집트와는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 추진에 합의하고 3~4조원 규모 카이로 공항 확장 사업 참여를 제안받았다. 남아공 G20 정상회의 계기 프랑스·독일·일본 등 주요국 정상과 연쇄 회담을 진행했으며, 튀르키예에서는 시놉 제2원전 사업 참여 기반을 확보하는 원자력 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번 순방은 취임 6개월 만에 G7부터 G20까지 다자외교를 완전히 복원하며 '국익 중심 실용외교'를 펼친 것으로 평가된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사우스와의 경제 협력 확대를 통해 보호주의 심화 속 한국의 외교·경제 지평을 넓혔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한규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President Lee Jae-myung will return home on the 26th after completing a 10-day, 7-night tour of the Middle East and Africa, which began with a state visit to the United Arab Emirates (UAE) on the 17th and included stops in Egypt, South Africa, and Türkiye.
In the UAE, he signed seven memorandums of understanding (MOUs) for joint defense industry development and cooperation in AI, space, and biotechnology, raising expectations for contracts worth more than 50 trillion won. With Egypt, he agreed to pursue 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CEPA) and received an invitation to participate in the Cairo Airport expansion project worth 3 to 4 trillion won. On the sidelines of the G20 summit in South Africa, he held a series of meetings with leaders from major countries including France, Germany, and Japan. In Türkiye, he signed a nuclear cooperation MOU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Sinop Unit 2 nuclear power plant project.
The trip is being seen as a demonstration of “pragmatic diplomacy centered on national interests,” restoring South Korea’s multilateral diplomacy from the G7 to the G20 within just six months of his inauguration. President Lee is also credited with expanding Korea’s diplomatic and economic horizons amid growing global protectionism by strengthen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Global South.
Reporter Kim Han-k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