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군정 성과 및 운영방향 브리핑 하는 이재영 증평군수. 사진/증평군
◆ (1단락) 돌봄 정책이 지역경제 견인동력 되다
증평군 민선 6기 돌봄 정책이 획기적 성과를 냈다. 임신·출산·육아 복지 만족도가 2022년 도내 9위에서 2025년 도내 1위로 상승했다. 행복돌봄나눔터 9개소, 돌봄나눔플러스센터 1개소, 다함께돌봄센터 2개소 등 모든 돌봄기관을 20분 생활권 내 배치했다. 돌봄을 단순 서비스가 아닌 지역경제 성장 동력으로 전환한 결과 600여명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졌다. 노인돌봄 시범마을을 8개로 확대했고 장애인보호작업장(540㎡)을 조성해 발달장애인 지원을 확대했다. 2024년 장애인복지사업 평가에서 우수지자체로 선정됐다.
◆ (2단락) 돌봄의 질적 변화가 주민 삶의 만족도 높였다
증평군 삶의 만족도는 2021년 도내 4위(6.03점)에서 2025년 도내 1위(6.7점)로 11.1% 상승했다. 합계출산율 1.05명으로 1명대를 유지하면서 청년비율 23.1%로 도내 2위를 기록했다. 2023년 출생아 증가율 34.8%로 전국 4위다. 이는 보육과 양육 부담 감소로 아이를 낳으려는 가구가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지역의 전반적 생활만족도(종합)에서도 2021년 4위에서 2025년 1위로 올라섰다. 돌봄이 단순히 아이를 맡기는 서비스를 넘어 주민의 삶 전체를 포괄하는 기본사회 실현으로 확대됐음을 보여준다.
민선 6기 군정 성과 및 운영방향 브리핑 하는 이재영 증평군수. 사진/증평군
◆ (3단락) 스마트 안전도시와 경제성장 동시 달성
보행만족도 72.2%로 도내 1위를 기록했다. 스마트 횡단보도, 보도턱 낮추기, 스마트쉼터 조성 등으로 생활 인프라를 개선했다. 재난관리평가에서 2022년 장관표창, 2023년 국무총리 표창, 2024년 장관표창, 2025년 최우수기관 선정(충북 군단위 유일)되며 3년 연속 우수성적을 거뒀다. 투자유치액 1조 2,880억원(20222025년)을 달성했고 주민 1인당 GRDP 5,122만원으로 도내 3위, 고용률 66.6%(최근 10년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공모사업 2,449억원(2022년 7월2025년 10월)과 보통교부세 823억원(2025년, 역대 최대)을 확보하며 재정력을 강화했다.
이우현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Seungpyeong's Care Policy Becomes Economic Engine... Satisfaction in Childbirth and Childcare Surges from 9th to 1st in Province"
600 new jobs created in care services, life satisfaction rises 11.1%
◆ (Paragraph 1) Care Policy Becomes Regional Economic Growth Driver
Seungpyeong County's 6th popularly-elected administration achieved breakthrough results in care policies. Satisfaction in childbirth, childbearing, and childcare welfare surged from 9th place in the province (2022) to 1st place (2025). The county strategically positioned all care facilities—including 9 Happy Care Sharing Centers, 1 Care Plus Center, and 2 Together Care Centers—within a 20-minute living zone. By transforming care from a simple service into a regional economic growth engine, the county generated approximately 600 jobs. Elder care pilot villages expanded to 8 locations, and the county established a protected workshop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540㎡) to enhance support for thos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ungpyeong earned designation as a superior local government in 2024's disability welfare business evaluation.
◆ (Paragraph 2) Qualitative Care Improvement Elevated Residents' Life Satisfaction
Seungpyeong County's life satisfaction rose 11.1%—from 4th place in the province (6.03 points) in 2021 to 1st place (6.7 points) in 2025. The county maintained a total fertility rate of 1.05 children while recording a youth population ratio of 23.1%, ranking 2nd in the province. The newborn increase rate reached 34.8% in 2023, ranking 4th nationally. This indicates that households increasingly choose to have children as childcare and child-rearing burdens decrease. Overall life satisfaction rankings climbed from 4th place (2021) to 1st place (2025). Care services expanded beyond simple childminding to encompass residents' entire lives, demonstrating the realization of a foundational social safety net.
◆ (Paragraph 3) Smart Safe City and Economic Growth Achieved Simultaneously
Walking satisfaction reached 72.2%, ranking 1st in the province. The county improved living infrastructure through smart crosswalks, sidewalk curb reduction projects, and smart shelters. In disaster management evaluations, Seungpyeong earned ministerial commendation (2022), prime ministerial commendation (2023), ministerial commendation (2024), and selection as the most superior institution (2025)—the only county-level government in Chungbuk to achieve consecutive excellence. The county attracted 1.288 trillion won in investment (2022-2025) and ranked 3rd in per-capita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at 51.22 million won, recording a 66.6% employment rate (the highest in the past decade). By securing 244.9 billion won in competition-based projects (July 2022-October 2025) and 82.3 billion won in ordinary transfer grants (2025, a record), Seungpyeong strengthened its financial capacity.
◆ Reporter Lee Woo-hy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