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로고

40대에서 자살이 암을 제치고 사망원인 1위로 올라서며 충격을 주고 있다. 198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통계청은 25일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서 40대 사망원인 중 자살이 26.0%를 차지해 암(24.5%)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2023년에는 암이 25.9%로 자살(23.4%)보다 앞섰으나 1년 만에 순위가 뒤바뀌었다.

자살 사망자 2년 연속 증가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4872명으로 전년보다 894명(6.4%) 증가했다. 2011년 이후 13년 만에 최다 수치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9.1명으로 전년보다 1.8명(6.6%) 상승했다. 성별로는 남자(41.8명)가 여자(16.6명)보다 2.5배 높았다.

OECD 기준 연령표준화 자살률은 한국이 26.2명으로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10.8명)의 2.4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한국의 자살 문제가 여전히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10대, 20대, 30대, 40대에서 자살이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했다. 50대 이상에서는 암이 1위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40대 사망원인에서 자살이 1위가 된 데 주목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핵심 경제활동계층인 40대에서는 경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사망자는 35만8569명으로 전년보다 6058명(1.7%) 증가했다. 전체 사망원인 1위는 암(24.8%)이었고, 이어 심장질환(9.4%), 폐렴(8.4%), 뇌혈관 질환(6.9%), 자살(4.1%)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는 자살 예방을 위해 다양한 상담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가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