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희 의원 (청주 서원, 행정안전위원회)

◆ 공유재산 관리 개선안 발의

더불어민주당 이광희 의원이 지난 21일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광희 의원은 청주 서원 지역구 의원이며 행정안전위원회 소속이다. 개정안은 지방자치단체 공유재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재난·재해 상황에서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개정안 발의 배경은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발생한 기증 조경수·조경석 실종 사건이다. 영동군은 2022년 레인보우 힐링관광지 조성을 위해 시민으로부터 수억 원대 조경수와 조경석을 기증받았다. 기증받은 조경수 43그루 중 10그루와 상당량의 조경석 행방을 파악하지 못했다. 기증재산 취득, 관리대장 누락, 검사 의무 소홀 등 총체적인 관리 부실이 확인됐다. 현재 경찰 수사와 관계 공무원 징계 절차가 진행 중이다.

◆ 5년마다 총조사 실시

개정안은 행정안전부 장관이 매년 공유재산 관리 실태를 분석·진단하고 결과를 공개하도록 했다. 5년마다 공유재산 총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신설했다. 총조사는 전문기관에 의뢰해 수행할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조사 비용을 지원해 기초 데이터를 정확히 축적하도록 했다.

◆ 재난 시 절차 간소화

개정안은 재난·재해 상황에서 공유재산을 신속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현행법은 재난 구호 목적으로 공유재산 사용료를 감면하려 해도 지방의회 동의와 심의회 심의를 거쳐야 한다. 긴급한 상황에서 신속한 지원에 걸림돌이 된다는 지적이 있었다. 개정안은 재난 복구 및 구호 목적으로 공유재산을 사용할 경우 복잡한 심의·동의 절차를 합리적으로 간소화하거나 명확히 규정했다.

이광희 의원은 "재난 현장에서는 몇 만원, 몇 십만원의 사용료 문제 때문에 시간이 지체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재난 상황 시 공유재산이 주민들을 위해 가장 먼저 쓰일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번 법안 통과를 통해 지자체가 공유재산을 더욱 투명하게 관리하고 주민과 기증자에 대한 책임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국정감사 지적 사항을 바탕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제도 개선에 힘쓰겠다"고 덧붙였다.

류홍근 기자

영문 기사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itle

Rep. Lee Kwang-hee Proposes Reform to Prevent Public Property Management Loopholes

Subtitle

Yeongdong County Donated Property Disappearance Case Triggers Reform, Disaster Response Procedures Simplified

◆ Public Property Management Reform Bill Proposed

Democratic Party Rep. Lee Kwang-hee proposed an amendment to the Public Property and Goods Management Act on the 21st. Rep. Lee represents Cheongju Seowon district and serves on the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ommittee. The amendment aims to systematically manage local government public property and enable rapid utilization during disasters and emergencies.

The amendment was triggered by the donated landscaping tree and stone disappearance case in Yeongdong County, Chungcheongbuk-do. Yeongdong County received landscaping trees and stones worth hundreds of millions of won from citizens in 2022 for the Rainbow Healing Tourist Site project. The county failed to track 10 out of 43 donated trees and a substantial amount of landscaping stones. The investigation revealed comprehensive management failures including improper acquisition of donated property, omissions in management ledgers, and neglect of inspection duties. Police investigation and disciplinary proceedings against related officials are currently underway.

◆ Comprehensive Survey Every Five Years

The amendment requires the Minister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o analyze and diagnose public property management conditions annually and disclose the results. It establishes legal grounds for conducting comprehensive public property surveys every five years. The surveys can be conducted through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will support survey costs to ensure accurate accumulation of basic data.

◆ Streamlined Disaster Response Procedures

The amendment enables rapid utilization of public property during disasters and emergencies. Current law requires local council approval and committee deliberation even when reducing public property usage fees for disaster relief purposes. This has been criticized as an obstacle to rapid support in urgent situations. The amendment reasonably simplifies or clearly defines complex deliberation and approval procedures when using public property for disaster recovery and relief purposes.

Rep. Lee stated, "Time should not be delayed due to usage fee issues of tens or hundreds of thousands of won at disaster sites." The lawmaker said, "We have reformed the system so that public property can be used first for residents during disaster situations."

Rep. Lee said, "This bill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for local governments to manage public property more transparently and increase accountability to residents and donors." He added, "We will continue to work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reflect voices from the field based on issues raised during the National Audit."

Reporter Ryu Hong-ge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