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의 AI자율제조 이차전지 선도과제 워크숍 모습. 사진/에코프로 제공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2차년도 워크숍 개최

이차전지 소재 기업 에코프로가 인공지능(AI) 기반 품질 예측과 실시간 데이터 수집 기술을 바탕으로 2027년까지 전사 생산성을 30% 끌어올리는 디지털 전환 계획을 본격화한다.

에코프로는 9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KOTMI), 디엘정보기술, 미소정보기술, 충북테크노파크 등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국책과제 2차년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하는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의 추진 실적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1차년도, 소성로 품질예측 데이터 확보 및 AI 모델 개발

에코프로는 1차년도 연구를 통해 소성로 공정의 품질 예측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예측 정확도 87%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품질 편차를 사전에 감지하고 공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2차년도, 자율제어·품질예측·데이터 플랫폼 현장 적용

2차년도에는 연구 성과를 생산 현장에 적용하는 단계로 돌입한다.
에코프로는 ▲설비 및 로봇의 자율제어 ▲AI 기반 품질예측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플랫폼 구축 등 핵심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품질예측 AI 모델의 정확도를 9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27년까지 전사 AI 전환…생산성 30% 향상 목표

에코프로는 2027년까지 전사 주요 업무 시스템을 AI로 전환해 업무 생산성을 30% 향상시킬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공정 최적화, 불량률 감소, 운영 효율 증대 등 제조 경쟁력 전반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AI와 데이터 기반 제조혁신으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이수호 에코프로 AI혁신실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AI 자율제조의 마스터플랜과 세부 과제의 진행 방향을 점검했다”며 “AI와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