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타 B2 노선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과 세종시, 대전시는 24일부터 BRT B2노선을 반석역에서 대전월드컵경기장까지 연장 운행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 10월 1일 정식 개통된 외삼(반석)~유성복합터미널(구암) 1단계 구간의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에 따른 후속 조치다.

4개 정류장 추가…환승 없이 이동

연장 운행에 따라 반석역, 반석네거리, 유성선병원, 대전월드컵경기장 등 4개 정류장이 추가된다.

기존 반석역을 종점으로 했던 B2노선 이용 시민들이 환승 없이 유성선병원과 대전월드컵경기장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됐다.

앞서 10월 1일부터는 대전-세종 간 광역노선인 M1번(반석역)과 대전 시내버스 119번(유성선병원)이 해당 중앙버스전용차로를 운행하도록 조정돼, 신속성과 정시성이 크게 개선됐다.

24일부터는 대전 시내버스 123번도 기존 구암동까지 운행하던 노선을 안산동까지 연장해 중앙버스전용차로 전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회차지·운전자 대기시설 조성

행복청은 1단계 개통 구간 종료 지점인 박산로 끝에 버스 회차지와 운전자 대기 시설을 조성해, 반석역 부근 B2 회차로 운영에 따른 교통혼잡을 해소하고 BRT 운전자의 편의도 높일 계획이다.

김효정 행복청 도시계획국장은 "이번 사례는 행복청이 광역교통개선대책에 따라 설계한 도로 위에, 대전시와 세종시가 각각 도로 공사와 BRT 운영을 맡아 협력한 모범사례"라며 "앞으로도 충청권 지자체와 협력해 행정수도 지원을 위한 광역교통체계 확충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천흥빈 세종시 교통국장은 "B2 노선은 세종시와 대전 유성 일대 출퇴근 수요를 아우르는 주요 간선노선"이라며 "이번 연장 운행으로 시민들의 교통 편의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며, 초기에는 현장 모니터링을 강화해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남시덕 대전시 교통국장은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은 빠르고 편리한 광역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을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교통수요 변화에 맞춰 유연하고 효율적인 대중교통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보경 기자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BRT B2 Route Extended to Daejeon World Cup Stadium Starting on the 24th

Four stops added from Banseok Station to Daejeon World Cup Stadium, travel possible without transfer

The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Sejong City, and Daejeon City announced on the 15th that the BRT B2 route will be extended from Banseok Station to Daejeon World Cup Stadium starting on the 24th.

This measure is a follow-up to the opening of the median bus-only lane for the first phase section from Oesam (Banseok) to Yuseong Complex Terminal (Guam), which was officially opened on October 1st.

Four Stops Added…Travel Without Transfer

With the extended operation, four stops will be added: Banseok Station, Banseok Intersection, Yuseong Sun Hospital, and Daejeon World Cup Stadium.

Citizens using the B2 route, which previously terminated at Banseok Station, can now travel to Yuseong Sun Hospital and Daejeon World Cup Stadium without transferring.

Previously, from October 1st, the Daejeon-Sejong metropolitan route M1 (Banseok Station) and Daejeon city bus 119 (Yuseong Sun Hospital) were adjusted to operate on the median bus-only lane, significantly improving speed and punctuality.

Starting on the 24th, Daejeon city bus 123 will also extend its route from Guam-dong to Ansan-dong to operate on the entire section of the median bus-only lane.

Creating Turnaround and Driver Waiting Facilities

The National Agency plans to create a bus turnaround and driver waiting facilities at the end of Baksan-ro, the end point of the first phase opening section, to alleviate traffic congestion caused by B2 turnaround operations near Banseok Station and improve convenience for BRT drivers.

Kim Hyo-jeong, Director of Urban Planning at the National Agency, said, "This case is an exemplary example of cooperation where the National Agency designed the road according to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improvement plan, and Daejeon City and Sejong City took charge of road construction and BRT operation respectively," adding, "We will continue to work with local governments in the Chungcheong region to expand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system to support the administrative capital."

Cheon Heung-bin, Director of Transportation for Sejong City, said, "The B2 route is a major trunk route covering commuting demand in Sejong City and the Yuseong area of Daejeon," adding, "We expect this extended operation to greatly improve traffic convenience for citizens, and we will strengthen on-site monitoring in the early stages to minimize inconvenience."

Nam Si-deok, Director of Transportation for Daejeon City, said, "The opening of the median bus-only lane is a measure to provide fast and convenient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dding, "We will continue to promote flexible and efficient public transportation policies in line with changes in transportation demand."

choi bo kyoung Repor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