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의회, 청소년 주도 성장 모델 현장에서 발굴.사진/세종시 의회

세종특별자치시의회(의장 임채성) 청소년 선진정책 도입 연구모임(대표의원 이순열)은 25일 청소년이 기획·운영하는 프로젝트 사례를 살펴 정책 대안 마련의 실마리를 얻기 위해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광주 삶디)를 방문했다.

연구모임은 목공방, 살림공방, 열린 책방, 미니극장, ‘랄랄라 홀’ 등 다양한 시설을 둘러보며 청소년 참여 방식과 운영 현황을 청취했다. 또한 ‘N개의 방과후 프로젝트’ 쇼케이스와 프로젝트 결과공유회 등을 확인하며 청소년 활동의 주체성과 자립성이 높아진 사례라는 데 의견을 모았다.

광주 삶디는 청소년이 기획·실행·발표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는 프로젝트형 활동을 꾸준히 운영해온 시설이다. 시설 설계와 운영 전반에 청소년 의견을 반영하며, 특히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결과공유회’는 학생들이 주제를 정하고 전시·발표를 통해 시민과 소통하는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

박형주 광주청소년삶디자인센터장은 “청소년 주도 프로젝트 운영 경험과 교육청 간 협력이 중요하다. 청소년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해 물리적 공간 확충과 프로그램 지원도 필요하다”며, “청소년이 직접 기획·운영하면서 자율성과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내적 동기화와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모임은 이번 벤치마킹 경험을 세종시 청소년 정책 수립에 참고하고, 청소년 주도 운영 요소 확대와 공간 설계·프로그램 기획 단계에서 청소년 참여 보장을 정책 과제로 제안할 계획이다.

이순열 대표의원은 “청소년의 주체적 참여와 자율 운영은 세종 청소년이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보여주었다”며, “세종에서도 특화된 운영 모델을 적극 수용해 청소년 정책의 실질적 변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세종시의회, 청소년 주도 성장 모델 현장에서 발굴.사진/세종시 의회

최보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