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기 세종시 경제산업국장. 사진/세종시.2025.0925

세종시가 늘어나는 상가 공실 문제 해소와 소상공인 경영난 완화를 위해 4대 분야 24개 지원 대책을 추진한다.

김현기 세종시 경제산업국장은 9월 25일 시청 기자회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수경제 활성화와 상가 공실 완화를 위해 소상공인 지원에 방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이번 대책은 소비 촉진, 상권 육성, 자금 지원, 국제대회 대비 경쟁력 강화 등 4개 분야로, 신규 사업 12개·확대 사업 6개·명절·축제 관련 사업 6개 등 총 24개 과제로 구성됐다.

시는 추석과 세종 한글 축제 등 지역 축제와 연계한 소비 촉진 사업을 펼치고, 공실 상가 입주 기업을 대상으로 ‘초저금리 특별자금’을 신설한다. 소상공인 1인당 최대 2천만 원을 융자 지원하고, 이자 4%를 보전한다. 지원 대상은 연 매출 1억400만 원 이하 기업, 공실 상가 입주·임차 영업 기업, 고금리 대출 기업 등이다.

또한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 경기대회를 대비해 국제행사 응대 교육, 컨설팅, ‘맛집 탐방 여행’ 콘텐츠 개발 등을 통해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세종시 상가 연구모임 사진/세종시 의회

정치권에서도 제도 개선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다. 김효숙 세종시의회 부의장(더불어민주당, 나성동)은 25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국회-지방의회 원탁회의에서 “세종시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2025년 1분기 기준 25.2%로 전국 평균의 두 배”라며 국회의 제도적 뒷받침을 촉구했다.

김 부의장은 “빈 상가는 단순한 공간 문제가 아니라 일자리 감소, 소비 위축으로 이어져 지역경제 악순환을 초래한다”며 “청년 창업과 AI 산업 육성 등 혁신 전략 전환과 임대인 세제 유인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부의장이 대표로 활동하는 ‘상가 공실 다각적 해법 모색 연구모임’은 지금까지 4차례 간담회를 열고 정책 대안을 논의했으며, 오는 10월 연구용역을 마무리하고 세종 지역에 맞는 상가 공실 활용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최보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