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성장펀드 지방발전전략 토론회개최 후 기념촬영 사진/부여군

충남 부여군 박정현 군수는 지난 23일 국회의원회관 제2간담회실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지방발전전략 토론회’에 참석해 금강권을 대한민국 기후테크 산업 국제 허브로 키우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토론회는 이병진, 장종태 국회의원실 주최, 한국공공정책평가협회와 열린정책뉴스 주관으로 열렸다.

박 군수는 정부 국민성장펀드 150조 원 중 지역 프로젝트에 배정된 60조 원을 활용해, 10조 원 규모 ‘충남성장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당 펀드는 정부, 지자체, 금융기관, 연기금, 국제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형 모델로, AI·바이오·기후테크(ABC 산업)에 집중 투자해 충남 경제의 신성장동력으로 활용된다.

박 군수는 ‘금강기후테크밸리’ 조성을 중심으로 5대 핵심 앵커 프로젝트를 제시했다.

▷해상풍력·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 탄소 중립 핵심 에너지 산업 육성.

▷전기차 폐배터리 순환 경제 클러스터 구축: 재활용 배터리를 통한 자원순환 및 부가가치 창출.

▷탄소 포집 및 저장(CCUS) 인프라 구축: 산업계 온실가스 감축 기여.

▷저탄소 물류·상용차 전환 허브 조성: 친환경 물류·상용차 전환 가속.

▷농촌·도시 녹색 전환 패키지 도입: 바이오매스, 마이크로그리드, 그린 리모델링 등 지속가능 발전 촉진.

박 군수는 농생명 바이오매스 자원화, 청년창업 랩 캠퍼스, 기업 녹색 전환 패키지를 선도 모델로 제안하며, “부여에서 시작한 혁신이 금강 전역과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전략은 2030년까지 지역 고용 1만 명 창출, 연간 온실가스 300만 톤 감축, 세수 확대 및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한다. 박 군수는 국민성장펀드가 지방 발전의 실질적 돌파구가 될 수 있도록 정부와 사회 전반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요청했다.

충남 금강권 기후테크 허브 조성은 기후 위기 대응과 지방경제 활성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 주목받고 있다.

김한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