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부지방법원 입찰 법정

올해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해 경매에 넘어간 부동산이 지난 2013년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17일 법원 등에 따르면 올해 1~11월 부동산(토지·건물집합건물) 임의경매 개시 결정 등기 신청 건수가 12만9703건으로 집계됐다. 이달 한 달이 남았지만 이미 올 들어 지난달까지 누적으로 직전 최고치인 2013년(14만8701건) 이후 최대 규모로 나타났다.

임의경매는 최근 2년째 급증하고 있다. 2021년 6만6248건, 2022년 6만5586건이던 임의경매는 지난해 10만5614건으로 전년 대비 61% 급증했다. 특히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임의경매 건수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나 증가하면서 2년 새 2배나 껑충 뛰었다.

최근 고금리 장기화로 대출금을 제때 갚지 못하는 사례가 늘면서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한 지역을 중심으로 경매 물건이 쏟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구체적으로 아파트 등 주거시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집합상가 등) 임의경매 증가세가 가팔랐다. 올 누적 5만1853건으로, 같은 기간(3만5149건) 48% 증가했다.

경매시장에선 당분간 경매 물건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시장 호황기 때 담보대출을 통해 부동산을 매입한 이른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자들이 높아진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면서 경매로 넘어간 물건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부동산 시장 침체와 고금리를 버티지 못한 아파트들이 늘고, 유찰되는 물건도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