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전업카드사의 지난달 신용점수 700점 이하 저신용자의 대출 상품별 금리. (사진=여신금융협회 제공) 2025.03.21.

지난달 국내 카드사에서 카드론을 쓴 고객들의 잔액이 43조원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경기 악화로 서민들이 급전 수단으로 카드사 대출상품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난 것이다. 여기에 카드사의 저신용자 대상 대출상품 금리는 법정 최고치 수준으로 유지돼 취약계층의 채무 악순환 우려가 제기된다.

21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롯데·현대·신한·삼성·BC·NH농협·KB국민·우리·하나)의 지난달 말 카드론 잔액은 42조9888억원으로 집계됐다. 역대 최대를 기록했던 지난 1월 말 잔액 42조7309억원 보다 약 2500억원 증가한 수치다.

카드론을 갚지 못해 카드사에 다시 대출을 받는 '대환대출'과 단기카드대출 상품인 '현금서비스', 신용카드 대금을 이월해 결제하는 '결제성 리볼빙' 등 카드사의 대출 성격의 상품들 모두 잔액이 늘었다.

지난달 대환대출 잔액은 1조6843억원으로 전월 보다 732억원 증가했다.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7440억원으로 전월보다 1303억원 늘었고,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7조613억원으로 91억원 상승했다.

이 가운데 카드사의 대출 금리도 증가하면서 서민 채무부담은 가중되는 모습이다. 지난달 전업·비전업 포함 카드사들의 카드론 금리는 평균 14.16%를 기록해 올해 들어 증가세를 이어갔다. 지난달 결제성 리볼빙 금리는 평균 17.25%, 현금서비스 금리는 평균 18.24%를 기록했다.

특히 신용정보회사의 신용점수 700점 이하 저신용자 대상 금리는 여전히 법정 최고금리인 20%에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제성 리볼빙은 8개 전업카드사 가운데 6개사가 저신용자 회원에서 평균 19%대의 금리를 책정했다. 현대카드 19.55%, 롯데카드 19.42%, 신한카드 19.19%, KB국민카드 19.15%, BC카드 19.13%, 하나카드 19.02% 등 이다.

현금서비스는 우리카드가 700점 이하 회원에게 제공한 평균 금리가 19.61%로 전업 카드사 가운데 가장 높았다. 롯데카드는 19.31%, BC카드는 19.19%, 삼성카드는 19.12%, KB국민카드는 19.00%로, 8개 전업카드사 가운데 5곳의 금리가 19%를 넘어섰다.

카드론의 경우 현대카드가 700점 이하 회원에게 평균 19.32%의 금리를 적용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경기가 악화되면서 중저신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출 상품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금리에 반영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며 "카드사들마다 영업 전략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는 있다"고 말했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