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세종의사당 건립이 국가예산안 국회 제출 기한인 내달 2일을 기점으로 본격궤도에 진입할것으로 보인다.

돈줄을 쥐고 있는 기획재정부가 초기 사업비 정부예산안 반영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설계공모를 시작으로 첫삽을 뜨기위한 후속 절차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국회 완전이전을 전제로 한 총사업비 5조 6000억원 규모의 세종의사당 건립 프로젝트는 기존 여의도 국회의사당을 능가하는 대형 국책 프로젝트다.

국회는 지난 5월 통과한 1차 추경안에 부대의견을 명시해, ‘기재부가 총사업비 협의를 조속히 완료할 것’을 주문했다. 최근엔 설계공모 관리용역 시작을 알렸다.

사실상 정치권의 발빠른 설계 착수 요청으로 해석된다.

기재부 역시 사업계획의 적정성과 타당성 검토 작업에 속도를 내는 등 호응도를 높이고 있는 모양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을 통한 검토 절차까지 본격화한 상태다.

KDI 검토 결과는 이르면 올해 말에서 내년 초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1~2분기 중 설계공모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가운데, 기재부는 이미 확정된 토지매입비 등 초기사업비 1050억원 외, 여러차례 예산심의를 통해 초기 사업비 추가 확보에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부의 국회세종의사당 건립 의지와 사업 속도를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국회세종의사당은 단순 분원 수준을 넘는 규모로, 예결특위, 11개 상임위, 국회도서관, 예산정책처 등 핵심 기능의 이전을 포함하고 있다.

향후 청와대 등 국가 핵심기능의 세종시 완전이전 논의로까지 확산될 수 있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같은 흐름에 발맞춰, 교통 인프라 확충 프로젝트가 속도전에 돌입할 가능성까지 커지고 있다.

국회의원, 보좌진, 민원인 등 하루 1만명 이상이 세종의사당을 이용할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신속한 국정 대응을 위한 기반시설 확충이 불가피한 과제로 떠오르면서다.

당장 총사업비 380억원(국비) 규모의 제천 횡단 지하차도(국지도 1호선) 신설 과 함께 숙원사업인 금강 횡단 교량 추가 설치가 거론된다.

세종시와 행복청은 현재 일평군 1만 9000대가 국지도 96호선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30년 3만 7000대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 도로망으로는 우회 운행이 불가피해 시내 혼잡은 물론 연간 수십억원에 이르는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세종시의 판단이다.

시는 우선 제천을 횡단하는 지하차로 건설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 3억원 반영을 새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이와 함께 교통량 증가에 대비한 금강 횡단 교량 추가 설치도 기정사실화 되는 분위기다.

세종시의 교통 인프라는 물론, 수도 기능 수행에 필요한 기반시설 전반을 근본적으로 재편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 관계자는 “세종의사당 초기사업비의 정부예산안 반영을 위해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허재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