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 임시청사

충북 청주시가 좌초 위기에 놓였던 한국전통공예촌 복합문화산업단지 조성 사업을 공영개발 방식으로 전환하며 정상화의 물꼬를 텄다.

청주시는 7일 충북개발공사와 공예촌 조성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기본 협약을 했다고 밝혔다. 양 기관은 협약을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사업 구조와 추진 방향 등을 함께 검토해나가기로 했다.

공예촌 조성 사업은 충북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쌍이리 일대 30만4천㎡ 부지에 공예품 생산·전시·체험시설, 한옥호텔, 전통공방, 공예기술연구소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총 사업비는 2천746억원에 달한다.

애초 이 사업은 민간단체인 한국전통공예산업진흥협회의 제안으로 시작됐다.

시는 협회를 사업시행자로 지정하고 행정절차 등을 밟아왔지만 최근 자금 확보와 사업 수행 능력 등을 이유로 사업시행자 지정을 전격 취소했다.

시는 "공공의 재원을 투입하는 대규모 사업인 만큼 사업자의 재정 건전성과 집행 역량을 철저히 검토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협회 측은 강하게 반발했다. 협회는 "수년간 준비해 온 사업을 일방적으로 무산시킨 처사"라며 "법적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는 등 갈등이 불거졌다.

결국 시는 사업의 안정성과 실행력을 확보하기 위해 공영개발로 방향을 틀었다. 충북개발공사가 사업 주체로 참여하면서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사업 재구성이 가능해졌다는 게 시의 판단이다.

시와 이번 협약에 따라 충북개발공사는 사업추진을 위한 제반 절차 이행에 적극 협력하고, 주요 업무에 대해서는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또 사업추진 절차, 추진방식 등 사업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별도의 협의를 통해 구체화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충북개발공사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성공적으로 사업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허재원 기자